에 의해서 whankimuseum | 2월 17, 2022
97년 1월 타계한 故 이일 선생의 추모 전시 및 출판 기념회를 연다. 시적인 감성과 예리한 시각으로 한국미술비평의 토대를 마련한 이일 선생의 작품과 사진자료, 박서보, 김창렬, 최명영, 서승원, 이우환, 곽인식 등 70년대와 80년대 초반 추상화풍으로 한국미술의 정수를 볼 수 있는 작가들의 작품 20여점, 아방가르드협회의 기획전 및 주요 국제전의 자료, 육필원고, 저서 등을 전시한다. 또한 유고비평 모음집인 “이일 비평일지”(미진사 발행)의 출판기념회도...
에 의해서 whankimuseum | 2월 17, 2022
뉴욕 초기 64년에서 66년 무렵 작품 가운데 <새벽별>, <겨울의 새벽별>, <성가족> 등 별에서 명제를 딴 김환기 선생 탄신 기념전. 서울시대에서 뉴욕시대로 정착해가는 이 시기에는 과도적 분위기를 접할 수 있는데 산과 강과 달과 같은 형체가 등장하면서도 화면 윗부분이나 중간 부분을 가로지르는 점획의 띠나 순수 추상화의 부분이 나타난다. 뉴욕 초기 발표되지 않은 과슈 36점을 모은...
에 의해서 whankimuseum | 2월 17, 2022
정신과 손의 작용으로서 가장 직접적 회화의 수단인 드로잉이 현대 젊은 작가들 속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확인하는 전시, 대상의 묘사, 자연 발생적인 선의 묘사에서부터 체계적 구성과 추상화적 구상에 이르기까지 드로잉의 기술적인 면과 개념적인 면을 다양한 재료와 기법을 통해 찾아본다. 출품 작가: 강미선, 김영길, 김우한, 박기원, 박병춘, 박영대, 유근택, 양주혜, 안현주, 엄정순, 임태규, 정은유, 정 현, 조경호,...
에 의해서 whankimuseum | 2월 17, 2022
35세 이하의 젊은 작가 발굴을 위한 국제 공모전, 서울, 베를린, 도쿄 세 지역의 3명의 커미셔터(김영순-서울, Peter Herbstreuth-베를린, 우에다 유조-도쿄)에 의해 추천된 9명의 후보작가전으로 이 가운데 최종 1명의 수상자를 뽑는다. 서울, 베를린, 도쿄의 현 미술의 흐름을 이해하고 상호 교류하는 뜻깊은 자리가 될 것이다. 서울: 고명근(사진), 김승영(조각), 이상윤(비디오) 베를린: Gunda Forster(설치), Manfred Pernice(조각),...
에 의해서 whankimuseum | 2월 17, 2022
김환기와 김향안이 주고 받은 편지 글과 그림 20여점 전시. 사랑하는 부인을 위해 그리는 애정의 글귀에서 좀처럼 풀리지 않는 새로운 조형세계에 대한 고민, 그리고 외로움 속에 다지는 마음의 결의까지 다양한 내용이 둘 사이의 깊었던 사랑을 말하고 있다. 우스운 얘기지만 나도 미술사에 남을 화가인 것 같애. 꼭 그렇게 하고 말테야. …나도 그림이라는 방법을 통해서 새로운 세계, 다시 말하면 창조를 하고 있는 거야. 예술은 창조의 일이거든. – 55년 10월 김향안에게...